LH 3기 신도시 종합정보 포털

미리보는 3기 신도시

교통이 편리한 도시

3기 신도시는 서울과 맞닿아 있거나,
아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GTX, S-BRT와 같은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해
주요 도심까지 30분이면 도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도시 내에서는 10분 안에 대중교통과 연결되는
미래교통도시로 만들겠습니다.

  • 교통이 편리한 도시 참고 이미지1
  • 교통이 편리한 도시 참고 이미지2
  • 교통이 편리한 도시 참고 이미지3
1
서울 인접 입지와
우수한 접근성

3기 신도시는 서울 경계에서 평균 1.3km 떨어진 접근성이 우수한 곳에 입지를 선정하였습니다.
서울 도심의 주요 기능을 분담하여, 수도권 균형발전의 핵심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 남양주
    왕숙

    서울경계에서
    3.5km

  • 남양주
    왕숙2

    서울경계에서
    4.0km

  • 하남
    교산

    서울경계에서
    2.2km

  • 인천
    계양

    서울과
    연접

  • 고양
    창릉

    서울경계에서
    0.7km

  • 부천
    대장

    서울과
    연접

2
정시성을 갖춘
철도 중심의
광역교통계획

일정한 시간에 출발·도착하는 철도 중심의 광역교통대책을 수립하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간선급행버스(S-BRT) 등과 연계한 대중교통망을 통해
인근 도시의 교통불편까지 해소하는 교통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서울의 주요 도심까지 30분 이내에 연결되는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조성하겠습니다.

3
수도권 광역급행
철도와 연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지하 대심도 공간을 활용하여 노선을 직선화하고, 평균 속도를 높여 신속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3개 노선이 3기 신도시와 연결될 예정으로, 먼 거리도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 광역급행 철도와 연계 안내
구분 GTX-A GTX-B GTX-C
연장 삼성~동탄
39.5km,
파주~삼성
43.6km
송도~마석
80.1km
덕정~수원
74.2km
비고 고양창릉(인접) 남양주왕숙
인천계양(인접), 부천대장(인접)
과천과천
4
도로 위의 지하철
S-BRT 도입

S-BRT(Super-Bus Rapid Transit)는 전용 주행로와 교차로 우선 통행, 수평 승하차 등을 통해
편의성과 정시성을 확보한 교통수단입니다.
3기 신도시와 주요 교통 거점을 연결하여, 환승이 편리한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만들어 갈 계획입니다.

S-BRT 조감 예시 S-BRT 조감 예시
S-BRT 해외 사례 S-BRT 해외 사례
5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을 통한
대중교통 연결

대중교통 거점과 생활권을 연결하는 스마트모빌리티(개인형 이동수단)를 도입하여
신도시 내에서 10분 안에 대중교통과 연결되는 미래교통 도시로 조성될 예정입니다.
독립적인 통행 환경을 위해 전용도로, 분리공간 등을 조성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물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접근성을 고려한 거치대 접근성을 고려한 거치대